병해충검색를 불러오는데 시간이 소요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병명 검색
search pest name
병한글명 | 검은무늬썩음병 | 병한문명 | 黑지病 |
---|---|---|---|
병영문명 | Black scurf, Damping-off, Stem canker | 전염경로 | |
작물명 | 감자 | ||
병원체 | Rhizoctonia solani K?hn
|
||
발생생태 | Thanatephorus cucumeris (Frank) Donk, (무성세대: Rhizoctonia solani Ku'hn)
진균계의 담자균문에 속하며, 담자기와 담자포자를 형성한다. 담자기는 원통형 내지 반원통형이며, 그 크기는 10∼23×8 ∼13㎛이다. 담자기의 상부에는 보통 3∼5개의 소병이 형성되고, 이 소병 끝에서 담자포자가 형성된다. 담자포자는 타원형 내지 계란 모양이며, 그 크기는 7∼13×4∼7㎛이다. 이 균의 무성세대는 분생포자를 형성하지 않으며, 균사의 분기점이 약간 잘록하고, 이로부터 가까운 곳에서 격막이 형성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. 이 균은 염주상세포와 균핵을 형성하기도 하는데, 균핵은 계통에 따라서 모양과 크기가 다양하다. 균핵은 담갈색 내지 암갈색, 구형 내지 편구형 혹은 부정형이고, 그 내부는 껍질과 속으로 분화되어 있지 않다. 이 균에는 균학적 특성 및 병원성이 매우 다른 여러 그룹의 균사융합군과 배양형이 존재한다. 감자 검은무늬썩음병을 일으키는 균사융합군은 AG-3과 AG-4인데, 줄기에는 주로 AG-4가 병을 일으키고, 괴경에는 주로 AG-3가 병을 일으킨다. AG-3의 균사생육 적온은 22∼26℃이고, AG-4의 균사생육 적온은 26∼30℃이다. |
||
병 증상 | 줄기에서는 부정형의 궤양증상으로 나타나고, 괴경에서는 여러 줄의 홈이 생기거나 기형으로 나타나며, 후에 감염부위에는 갈색 내지 암갈색, 구형 내지 편구형 혹은 부정형의 균핵이 형성된다. 줄기에 감염되면 식물체가 시들고, 괴경이 잘 비대하지 않아 수량이 감소하며, 감염된 괴경은 상품 가치가 없게 된다. |
||
방제방법 | <일반적 방제>
- 건전한 종서를 선발하여 파종한다. - 재배 포장의 토양이 다습하지 않도록 주의한다. - 균형시비하여 병발생을 억제한다. - 병 발생이 심한 포장은 화본과 등 다른 비기주 작물과 돌려짓기를 한다. < 약제 방제> - 종서를 등록약제로 분의 처리 혹은 침지 처리하여 파종한다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