조림계획
목적
- 목재생산림 지역내 지역별(리단위)로 기후·토질·지형에 맞는 적지적수의 수종을 선정하여 집단적 조림을 추진 대경목 생산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 지속가능한 산림생태환경을 조성하여 조림사업추진 방침.
조림사업 추진방침
- 경제림 육성단지 집중 조림 및 불량림 갱신으로 조림 확대
- 큰나무 조림 및 지역특화 조성 확대를 통한 공익성 강화
- 지역·기후를 고려한 경제적 가치가 뛰어난 적지적수 조림시행
- 효율적인 조림시스템 개발 및 조림지 사후관리 강화
시범단지(경제림육성단지)지정추진
- 목 적 : 산림경영에 필요한 임지인 기지정돤 경제림 육성단지 내에서 시범단지를 지정 지속적으로 집중 관리하여 임업의 산업화 기반구축에 기여
- 지정조건 : 목재 생산임지내 대단위 인공조림지역
- 규 모 : 1개단지 면적200~500ha 내외
- 명 칭 : 행정구역 명칭이나 주요“산”이름 활용
- 관 리 : 벌채,조림,육림사업등 국고보조사업 우선 배정 집중관리
년도별 조림현황
구분 | 예산액 | 조림면적 | 수종별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계 | 8,492,205 | 2,206 | ||
2011 | 1,297,000 | 373 | 소나무외 22종 (상수리,백합,느릅,자작) | |
2012 | 671,606 | 196 | 소나무외 11종 (상수리,백합,느릅,자작) | |
2013 | 742,000 | 229 | 소나무외 12종 (상수리,백합,소나무,편백등) | |
2014 | 763,599 | 233 | 소나무외 9종 (백합,소나무,상수리,편백등) | |
2015 | 1,074,000 | 337 | 소나무외 10종 (백합,소나무,상수리,편백등) | |
2016 | 1,858,000 | 458 | 소나무외 9종 (백합,소나무,상수리,편백등) | |
2017 | 2,086,000 | 380 | 소나무외 9종 (백합,소나무,상수리,편백등) |
조림사업별 추진 내용(목적)
- 목재생산 조림
: 우량목재 생산을 위한 용기묘, 대묘의 침엽수종 중심 조림과 불량 활엽수림 수종갱신, 대면적 단지화의 특용수 조림과 병행추진 - 바이오순환림 조림
: 목재펠릿 등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산림바이오매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(백합나무, 참나무류, 물푸레, 느릅)등 속성수 위주 조림과 중․소경재를 공급하는 단벌기 경영림 - 큰 나 무 조림
: 마을, 주요 도로변 등의 주변 벌채지역의 조기녹화를 위해 큰나무 조림 추진 - 지역특색녹화 조림
: 주요 도로변, 마을 공한지, 임상불량지역 등에 관상효과가 크고 지역 풍토에 적합한 수종으로 특색있는 경관림 조성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관광지, 명승지주변과 연계 사업 추진 휴양공간 조성 - 소득증대조림
: 산지와 유휴지를 활용 유실수 및 특용수 등 단기소득수종 식재로 농산촌 주민 소득증대에 기여 - 생 태 조 림
: 조림실패지등의 우량한 천연치수 보육과 실생묘 보완 조림 및 자연복원력을 최대한 이용 - 용 기 묘 조림
: 조림 활착률 제고 및 생육촉진을 위하여 소나무 및 상수리 포트묘 조림 추진 경제림 조성에 기여 - 유휴토지 조림
: 패경지(전·답), 공한지, 목장용지등에 식생복원 및 농가 소득증대를 위해 유실수, 특용수, 조경수등을 식재하여 토지활용도 증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