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.
주요사업명 | 지 원 대 상 | 지 원 내 용 | 비 고 |
---|---|---|---|
1-1. 장애인연금 (종전 1급, 2급 및 3급 중복장애) |
|
|
읍·면에 신청 |
1-2. 장애수당 및 장애아동수당 |
|
|
읍·면·동 주민센터에 신청 |
주요사업명 | 지 원 대 상 | 지 원 내 용 | 비 고 |
---|---|---|---|
2-1.
장애아 보육료 지원 |
|
|
읍·면에 신청 |
2-2. 여성장애인 교육지원 |
|
|
제공기관에 신청 |
2-3. 청소년 발달장애 학생 방과후 활동서비스 |
|
|
읍·면에 신청 |
주요사업명 | 지 원 대 상 | 지 원 내 용 | 비 고 | |
---|---|---|---|---|
3-1.
장애인 의료비 지원 |
|
|
의료급여증과 장애인등록증을 제시 | |
3-2.건강보험 지역 가입자의 보험료 경감 | 자동차분 건강 보험료 전액 면제 |
|
|
국민건강보험공단지사에 확인 |
산출 보험료 경감 |
|
|
국민건강보험공단지사에 신청 | |
장기요양보험료 경감 |
|
|
국민건강보험공단지사에 신청 | |
3-3.
장애인 등록진단비 지원 |
|
|
읍·면에 신청 | |
3-4.
장애검사비 지원 |
|
|
읍·면에 신청 | |
3-5. 발달재활 서비스 |
|
|
읍·면에 신청 | |
3-6. 장애인 보조기기 교부 |
|
|
읍·면에 신청 | |
3-7. 장애인 보조기기 건강보험급여 (의료급여) 적용 |
|
|
신청기관 건강보험: 국민건강보험공단(지사) 의료급여:시·군·구청 ※국민건강보험 공단에 등록된 업소 및 품목에 대해 구입한 경우 급여지원(공단 홈페이지 사이버민원센터 참조) |
|
3-8.
장애인 의료재활 시설 운영 |
|
|
의료급여증과 장애인등록증 (복지카드)을 제시 | |
3-9. 여성장애인 출산비용 지원 |
|
|
읍·면에 신청 |
주요사업명 | 지 원 대 상 | 지 원 내 용 | 비 고 |
---|---|---|---|
4-1. 장애인 활동 지원 |
|
|
읍·면에 신청 |
4-2. 장애아 가족 양육 지원 |
|
|
읍·면에 신청 |
4-3. 발달장애인 주간활동 서비스 |
|
|
읍·면에 신청 |
4-4. 발달장애인 공공후견 지원 |
|
|
시/군/구청 신청 |
4-5. 발달장애인 공공후견인 활동비용지원 |
|
|
읍·면에 신청 (확인필요) |
4-6. 발달장애인 공공후견인 활동비용지원 |
|
|
공공후견법인에서 활동비 지급 |
4-7.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지원 |
|
|
읍·면·동 주민센터에 신청 |
4-8. 장애인자동차표지 발급 |
|
|
읍·면에 신청 |
4-9. 공동주택 특별 분양 알선 |
|
|
시·도에 문의 및 읍·면·동 주민센터에 신청 |
4-10. 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 지원 |
|
|
읍·면·동 주민센터에 신청 |
4-11. 무료 법률 구조제도실시 |
|
|
대한법률 구조공단 관할 지부에 유선 또는 방문상담 (☎132, www.klac.or.kr) |
주요사업명 | 지 원 대 상 | 지 원 내 용 | 비 고 |
---|---|---|---|
5-1. 장애인 고용서비스 |
|
|
고용노동부 (한국장애인고용공단) (☎1588-1519) ※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www.kead.or.kr에서 안내 |
5-2. 장애인 일자리지원 |
|
|
지자체 또는 사업수행기관 (위탁기관)에서 공개모집 |
5-3.
장애인 생산품 판매시설 운영 지원 |
|
|
인근 장애인 생산품 판매 시설에 의뢰 문의: 한국장애인 직업재활시설협회 ☎02-921-5053 |
5-4.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운영 |
|
|
장애인기업 종합지원센터 (☎02-2181-6500) |
5-5. 장애인 창업점포 지원사업 |
|
|
장애인기업 종합지원센터 (☎02-2181-6500) |
5-6. 장애인창업 육성 |
|
|
장애인기업 종합지원센터 (☎02-2181-6500) |
5-7. 중증장애인직업재활지원 |
|
|
사업수행기관 내방, 전화 등으로 이용 신청 ※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통합관리시스템(vr.koddi.or.kr)참고 |
5-8. 장애인 직업재활 시설 운영 |
|
|
시·군·구에 상담 |
5-9. 장애인 자립자금 대여 |
|
|
읍·면·동에 신청 |
주요사업명 | 지 원 대 상 | 지 원 내 용 | 비 고 |
---|---|---|---|
6-1.
차량 구입시 도시 철도채권 구입 면제 |
|
|
시·군·구청 차량등록 기관에 신청 (자동차판매사 영업사원에게 문의) |
6-2.
고궁, 능원, 국·공립박물관 및 미술관, 국·공립공원, 국·공립공연장, 공공체육시설 요금 감면 |
|
|
장애인등록증(복지카드) 제시 |
6-3. 공영주차장 주차요금 감면 |
|
|
장애인등록증(복지카드) 제시 |
6-4. 철도·도시철도 요금 감면 |
|
|
장애인등록증(복지카드) 제시 |
6-5.
유선통신 요금 감면 |
|
|
해당 통신회사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 신청 |
6-6.
이동통신 요금 감면 |
|
|
해당 통신회사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 신청 |
6-7.
시·청각 장애인 TV 수신료 면제 |
|
|
주소지 관할 한전지사, KBS수신료콜센터(1588-1801), 인터넷www.oklife.go.kr또는 읍·면·동 주민센터에 신청 |
6-8. 시·청각 장애인용 TV(방송수신기) 보급 |
|
|
시청자미디어재단 (☎02-6900-8322) |
6-9. 장애인방송 시청 지원 |
|
|
방송통신위원회 산하 시청자미디어재단 (☎02-6900-8322) |
6-10. 항공요금 할인 |
|
|
장애인 등록증(복지카드) 제시 |
6-11. 연안여객선 여객운임 할인 |
|
|
장애인 등록증(복지카드) 제시 한국해운조합 (☎02-6096-2044) |
6-12.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 |
|
|
장애인통합복지카드 발급 신청: 주소지 읍・면・동 주민센터 감면단말기 지문정보 입력: 전국 읍・면・동 주민센터, 한국도로공사 지역본부 |
6-13. 전기요금 할인 |
|
|
한국전력 관할지사·지점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 |
6-14. 도시가스요금 할인 |
|
|
지역별 도시가스지사·지점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 |
6-15. 장애인 자동차검사수수료 할인 |
|
|
교통안전공단(문의) (☎1577-0990 www.ts2020.kr |
주요사업명 | 지 원 대 상 | 지 원 내 용 | 비 고 |
---|---|---|---|
7-1.
승용자동차에 대한 개별소비세 면제 |
|
|
자동차 판매인에게 상담, 국세청 소관 관할세무서 |
7-2. 장애인용 차량에 대한 지방세 감면 |
|
|
시·군·구청 세무과에 신청 (행정자치부 지방세특례제도과) |
7-3. 차량 구입시 지역개발 공채 구입 면제 |
|
|
시·군·구청 차량등록 기관에 신청 (자동차판매사 영업사원에 문의) |
7-4. 소득세 공제 |
|
|
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 신고시 공제신청 (국세청 전화세무 상담126) |
7-5. 장애인 의료비 공제 |
|
|
근로소득자의 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 신고시 공제신청 (국세청 전화세무상담 126) |
7-6.장애인 특수교육비 소득공제 |
|
|
|
7-7. 장애인 보험료 공제 |
|
|
|
7-8.상속세 상속 공제 |
|
|
관할 세무서에 신청 |
7-9. 증여세 과세가액 불산입 |
|
|
관할 세무서에 신청 |
7-10. 장애인 보장구 부가가치세 영세율 적용 |
|
|
별도신청 없음 ※텔레비전 자막수신기(국가·지방자치단체·한국농아인협회의구매시) |
7-11. 장애인용 수입물품 관세 감면 |
|
|
통관지 세관에서 수입신고시에 관세면제 신청 |
7-12. 특허출원료 또는 기술평가청구료 등의 감면 |
|
|
출원, 심사청구, 기술평가청구, 심판청구시 또는 등록시 특허청에 감면 신청 |